신규 항원을 기반으로 한 CAR-T 세포 개발
MJ Cellbio – Beyond New Horizon
일반적인 CAR-T
T 면역 세포에 암 세포 항원을 인지하는 유전자 (CAR, chimeric antigen receptor)를 도입하여 암 세포만을 공격하거나 파괴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T 면역 세포

MJCELLBIO CAR-T의 차별점

-
항체(scFv) 대신 리간드를 이용한 생리학적인 CAR-T
- 암표적 단백질에 결합하는 능력이 항체를 이용한 경우보다 우수합니다
- 리간드는 표적 암단백질의 변이에도 강합니다.
- 항체(scFv) 이용 CAR-T의 경우 결합하는 부위(epitope)의 변이 시 CAR-T의 기능에 큰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- 리간드의 인위적인 변이를 통해 결합력의 강도를 조정하여 치료효과 또는 부작용을 조절하기 용이합니다.
CAR-T Treatment

* LV : Lentivirus 유전체 전달 시스템
CAR-T Cell Mediated Cytotoxicity
